하루 3분 공부/경제

[경제신문스크랩/경제용어]

Passion91 2019. 1. 25. 20:00
i. 기사내용

"경제 불확실성 커져…저축銀 선제적 건전성 관리를"


윤석헌 금융감독원장(맨 왼쪽)이 25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저축은행 CEO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 연합뉴스]윤석헌 금융감독원 원장이 25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부동산 경기 둔화 등 잠재 위험 요인을 점검했다. 아울러 건전성과 소비자 보호를 고려한 선제적 관리를 주문했다.

윤 원장이 저축은행 CEO들과 공식적으로 만난 것은 지난해 5월 취임한 후 처음이다. 이날은 박재식 신임 저축은행중앙회장과 저축은행 업계 간 상견례와 신년회를 겸한 자리로 마련됐다.

윤 원장은 "올해는 한국 경제의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금리 상승, 부동산 경기 둔화 등 잠재적 위험 요인들이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위험 요인들이 현실화하면 저축은행 주요 고객층인 서민과 중소기업의 상환능력이 저하되고 저축은행의 중소서민금융회사로서 역할 또한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원장은 특히 최근 가계대출 연체율이 소폭 상승하고 있어 '선제적인 건전성 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저금리로 낮아졌던 가계대출 연체율은 2017년 말 4.5%에서 2018년 9월 말 4.7%로 상승했다. 가계신용대출 연체율도 2017년 말 6.1%에서 2018년 9월 말 6.5%로 상승했다. 윤 원장은 "자체적으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해 달라"며 "동시에 정상화가 어려운 부실채권을 조속히 정리하고 충당금을 충분히 적립해 달라"고 주문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관리지표를 도입하고 2단계 대손충당금 적립 기준 상향, 예대율 규제 등으로 건전성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윤 원장은 "건전성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급격하게 자금을 회수하거나 공급을 줄이면서 주된 고객층인 서민과 중소기업이 곤란을 겪지 않도록 배려해 달라"고 말했다.

윤 원장은 포용적 금융도 강조했다. 그는 "지역 밀착형 금융이 본업이라고 할 수 있는 저축은행이 포용금융 확산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취약·연체차주 지원 방안의 후속 조치들이 현장에서 충실히 이행되도록 관심과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대표적인 지역 금융기관으로서 저축은행들이 혁신성장기업 발굴·지원에 앞장서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저축은행 CEO들은 윤 원장에게 업계 건의 사항을 전달했다. 윤 원장은 건의 사항들에 즉답을 하진 않고 귀를 기울였다.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저축은행 규모별 규제 차등화' '저축은행 주택담보대출비율(LTV) 규제 완화' '자기자본 부분 대출이 가능하도록 예대율 규제 조정' '영업구역 확대 및 수도권 진출 허용' '예금보험료 인하' 등을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원장은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저축은행 업권이 변화의 시기를 맞고 있다"며 "2011년 트라우마를 겪었는데 어느 정도 정리가 돼서 이제부터 새롭게 미래를 보고 지역·서민경제 등을 위해 활동할 수 있도록 하자는 목소리를 들었다"고 말했다. 




ii. 용어정리


주택담보대출비율문 머리글자를 따서 흔히 LTV(Loan to Value)라고 부른다. 주택담보인정비율(담보인정비율)이라고도 한다. 주택을 담보로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할 때 담보물(주택)의 가격에 대한 대출액 비율을 가리킨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대출을 받으려는 사람의 소득 대비 전체 금융부채의 원리금 상환액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연간 총부채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눠 산출한다.




iii. 기사를 읽고서..


역사적으로 봤을 떄 건전성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서 큰 위기를 맞은 적이 몇차례씩 있다. 대표적으로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때 모두가 시장을 낙관적으로만 바라보고 앞으로 닥쳐올 금융위기에 대해서는 대비를 하지 않아서, 세계 경제가 흔들리는 지경까지 이르렀다. 우리나라는 수 년동안 가계부채와 정부부채가 늘어왔다. 이런 상태에서 금리 인상은 엄청난 여파를 몰고올 수 있는데,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나라 특성상 쫓아 올리지 않을 수 가 없다. 미국의 금리 상승압박과 세계적으로 불안정한 경제환경 속에서 위의 기사와 같은 건전성 관리는 꼭 필요한 조치이다. 위험관리에 있어서는 항상 보수적으로 운용하는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




iv. 기사본문출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09&aid=0004295246